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!




$$ \begin{array}{|c|l|c|l|} \hline \textbf{대문자} & \textbf{설명} & \textbf{소문자} & \textbf{설명} \\ \hline N & \text{모집단(Population)의 전체 크기} & n & \text{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(Sample)의 크기} \\ \hline S & \text{표본공간(Sample Space), 가능한 모든 결과의 집합} & s & \text{표본표준편차(Sample Standard Deviation)} \\ \hline X, Y & \text{확률변수(Random Variable)라는 개념 또는 규칙} & x, y & \text{확률변수 X, Y가 가질 수 있는 특정 값} \\ \hline M, K & \text{모집단 내 특정 속성을 가진 원소의 개수 (주로 초기하분포에서 사용)} & k & \text{특정 사건이 발생한 횟수 (x와 동일한 역할로 자주 사용)} \\ \hline P(A) & \text{사건 A가 일어날 확률(Probability)} & p & \text{단일 시행에서의 성공 확률 (모수)} \\ \hline E(X) & \text{확률변수 X의 기댓값(Expectation) 또는 평균} & - & - \\ \hline \end{array} $$

  • 통계학/변수명정리.1758721431.txt.gz
  • Last modified: 2025/09/24 13:43
  • 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