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계학:베이즈_정리

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!


상위 개념 : 조건부 확률, 확률의 곱법칙

참고영상

개념

새로운 정보가 주어졌을때 특정 사건에 대한 사전확률을 업데이트하여 더 정확한 사후확률을 구하는 것.

주요 용어

1. 사전정보(prior information): 어떤 사건의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 이미 알려진 과거의 통계 등 총칭
2. 사전확률(prior probability): 사전정보에 기반하는 초기확률
3. 사후확률(posterior probability): 새로운 정보가 반영되어 수정된 최종 확률
4. 가능도(likelihood): 사건 A가 사실일 때, 사건 B가 관찰될 확률.
5. 증거 (Evidence) : 사건 B가 관찰될 전체 확률

공식

$ \Large P(A|B) = \frac{P(B|A)P(A)}{P(B)} $
P(A|B) : 사후확률
P(B|A) : 가능도
P(A) : 사전확률
P(B) : 증거

공식이해

사실상 해당 공식은 조건부 확률과 같다. 하지만 이하의 차이가 있다.

구분 조건부 확률 (Conditional Probability) 베이즈 정리 (Bayes' Theorem)
방향성 원인 → 결과 결과 → 원인
관점 순방향 (Forward) 역방향 (Backward)
핵심 질문 “원인이 주어졌을 때, 이 결과가 나올 확률은?” “결과가 관찰되었을 때, 그 원인이 무엇이었을 확률은?”
예시 “병에 걸린 사람(원인)이 양성 판정을 받을(결과) 확률” “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(결과)이 실제로 병에 걸렸을(원인) 확률”
  • 통계학/베이즈_정리.1758543542.txt.gz
  • Last modified: 2025/09/22 12:19
  • 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