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is is an old revision of the document!


스무고개 게임과 비슷.
목표 : 정답을 맞힌다.
전략 : 한번에 질문 하나씩 던져 가능성 줄인다.
핵심 : 가장 좋은 질문을 먼져 던져야한다.

정답이 “사자”일떄,
나쁜 질문 : 사자인가요?
좋은 질문 : “동물인가요?

왜 사자인가요가 나쁜질문인가? 한번에 답이 나왔는데?
이유는 모델을 만드는 목적이 단순 답을 맞추는것이 아닌 어떠한 질문을 통해 모델 만들기라서 그럼.
사자인가요? 는 그냥 끝남. 하지만 돌물인가요? 는 동물로 OX 가 갈림으로 동물이라는 정의가 담김 (= 정보 이득)

  1. 노드 : 데이터를 나누는 분기점(질문 지점) = 질문 하나하나

노드의 종류 : 루트노드, 중간 노드, 리프 노드가 있음. 정보이론 정보이득 엔트로피 질문 후 정보이득 = 진문 전 엔트로피 - 질문 후 엔트로피 =⇒ gain(T,X) = Entropy(T)-Entropy(T,X) Entropy = 시그마^m_i=1 -pi log2 pi Entorpy = 시그마_c=X P©E©

지니계수

다중분류

  • 머신러닝/의사결정트리.1759494514.txt.gz
  • Last modified: 2025/10/03 12:28
  • 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