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how pageOld revisionsBacklinksBack to top This page is read only. You can view the source, but not change it. Ask your administrator if you think this is wrong. =====치환적분법(Integration by Substitution)===== > 개념: 복잡한 함수의 일부를 간단한 문자(u)로 바꿔(치환하여), 계산하기 쉬운 형태로 만들어 적분하는 기술. 미분의 **[[미적분:연쇄법칙|연쇄법칙]]**을 거꾸로 적용하는 과정이다. > 쉽게말하자면 치환적분법은 적분하려는 함수가 **'합성 함수'**와 그 **'알맹이 함수의 도함수'**의 곱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, 그것을 원시함수로 되돌리는 기술 ---- ====공식==== ===부정적분에서의 치환=== $$ \Large \int f(g(x))g'(x) dx = \int f(u) du = F(u) + C = F(g(x)) + C $$ * **설명**: 적분할 함수 안에 알맹이 함수 $$g(x)$$와 그것을 미분한 $$g'(x)$$가 곱해져 있을 때 사용한다. $$g(x)$$를 $$u$$로 치환하면 식이 간단해진다. ---- ===정적분에서의 치환=== $$ \Large \int_a^b f(g(x))g'(x) dx = \int_{g(a)}^{g(b)} f(u) du $$ * **설명**: 부정적분과 과정은 동일하지만,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**적분 구간**도 함께 바꿔줘야 한다는 점이다. * 원래의 x구간이었던 $$ [a, b] $$가, 새로운 u구간인 **$$ [g(a), g(b)] $$**로 바뀐다. 미적분/치환적분법.txt Last modified: 2025/09/29 01:42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