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s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|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| Previous revision | ||
| 통계학:확률_변수분포 [2025/09/25 13:24] – [메모] masteraccount | 통계학:확률_변수분포 [2025/09/26 01:03] (current) – masteraccount | ||
|---|---|---|---|
| Line 23: | Line 23: | ||
| ===확률분포의 분류 체계=== | ===확률분포의 분류 체계=== | ||
| ^ 항목 ^ 이산형 확률분포 ^ 연속형 확률분포 ^ | ^ 항목 ^ 이산형 확률분포 ^ 연속형 확률분포 ^ | ||
| - | | 정의 함수 | [[통계학: | + | | 정의 함수 | [[통계학: |
| - | | 종류 (주요 분포) | [[통계학: | + | | 종류 (주요 분포) | [[통계학: |
| + | \\ | ||
| \\ | \\ | ||
| + | ===메모=== | ||
| + | > PMF 파트 메모\\ | ||
| + | 1) 베리누이 분포의 하위항목으로 이항분포와 다항분포가 있으며 \\ | ||
| + | 이항분포 & 다한분포 차이 : 이한분포는 한번의 시행에서 가능한 결과가 양자일택일때, | ||
| + | \\ | ||
| + | 2) 기하분포와 음이향분포는 베르누이 실험에서 실패 횟수에 중점을 두는 계산방법이다.\\ | ||
| + | \\ | ||
| + | |||
| + | > PDF & CDF 파트 메모 \\ | ||
| + | 1) CDF는 미분, PDF 는 적분이다. \\ | ||
| + | \\ | ||
| + | 2)PDF 의 주요 분포들( 연속균일분포 등등)은 PDF의 dx 는 놔도고 f(x) 부분문 바꾸는것이다.\\ | ||
| + | \\ | ||
| + | |||
| + | > | ||
| + | 1) 확률질량함수에서는 p(x) 자체가 베르누이 등등으로 업그레이드된다면, | ||
| + | \\ | ||
| + | 2) 확률질량함수와 확률밀도함수 모두 [[통계학: | 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