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s
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
Link to this comparison view

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
Next revision
Previous revision
통계학:확률_변수분포 [2025/09/25 08:37] – [확률분포의 분류 체계] masteraccount통계학:확률_변수분포 [2025/09/26 01:03] (current) masteraccount
Line 1: Line 1:
-====확률변수와 확률분포==== 
- 
 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jX4EPhfUps|확률변수와 분포 설명 영상]]\\ [[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jX4EPhfUps|확률변수와 분포 설명 영상]]\\
 \\ \\
-====개념==== + 
-===확률변수===+====확률변수====
 확률변수는 함수이다.\\ 확률변수는 함수이다.\\
 해당 함수는 [[통계학:표본공간|S]]의 [[통계학:사상|단일사상]]을 실수값에 매핑시키는 함수이다.\\ 해당 함수는 [[통계학:표본공간|S]]의 [[통계학:사상|단일사상]]을 실수값에 매핑시키는 함수이다.\\
 함수를 통해 [[통계학:사상|단일사상]]은 **실수**에 매핑되는데, 같은 조건에 부합하는 단일사상은 같은 실수에 묶인다.\\ 함수를 통해 [[통계학:사상|단일사상]]은 **실수**에 매핑되는데, 같은 조건에 부합하는 단일사상은 같은 실수에 묶인다.\\
-\\ 
 이렇게 나온 실수는 확률분포에서 사용된다.\\ 이렇게 나온 실수는 확률분포에서 사용된다.\\
 \\ \\
-===확률분포===+ 
 +===표기법=== 
 +$ 확률변수 : X: \mathbf{S} \to \mathbf{R} $ \\ 
 +\\ 
 +====확률분포====
 확률분포는 확률변수를 통해 나온 실수를통해 확률을 구하는것이다. \\ 확률분포는 확률변수를 통해 나온 실수를통해 확률을 구하는것이다. \\
 공식은 P(X=**실수**) \\ 공식은 P(X=**실수**) \\
 어떤 실수 값에 묶인 단일사상들의 확률을 모두 더한 값이 그 실수 값이 나올 확률이 된다.\\ 어떤 실수 값에 묶인 단일사상들의 확률을 모두 더한 값이 그 실수 값이 나올 확률이 된다.\\
 \\ \\
-====표기법===+===표기법===
-$ 확률변수 : X: \mathbf{S} \to \mathbf{R} $ \\+
 $ 확률분포 : P( \mathbf{R_n} ) $ \\ $ 확률분포 : P( \mathbf{R_n} ) $ \\
-\\ 
 \\ \\
  
-====확률분포의 분류 체계====+===확률분포의 분류 체계===
 ^ 항목 ^ 이산형 확률분포 ^ 연속형 확률분포 ^ ^ 항목 ^ 이산형 확률분포 ^ 연속형 확률분포 ^
-| 정의 함수 | [[통계학:확률질량함수]](PMF) | [[통계학:확률밀도함수]](PDF), [[통계학:누적분포함수]](CDF) | +| 정의 함수 | [[통계학:확률질량함수]](PMF) | [[통계학:누적분포함수]](CDF/미분), [[통계학:확률밀도함수]](PDF/적분) | 
-| 종류 (주요 분포) | [[통계학:이산형_균일분포|이산형 균일분포]], [[통계학:베르누이분포]], [[통계학:이항분포]], [[통계학:다항분포]], [[통계학:초기하분포]], [[통계학:기하분포]], [[통계학:음이항분포]], [[통계학:포아송분포]], | [[통계학:연속형균일분포]] |\\+| 종류 (주요 분포) | [[통계학:이산형_균일분포|이산형 균일분포]], [[통계학:베르누이분포]], [[통계학:이항분포]], [[통계학:다항분포]], [[통계학:초기하분포]], [[통계학:기하분포]], [[통계학:음이항분포]], [[통계학:포아송분포]],[[통계학:결합확률질량함수]],  | [[통계학:연속형균일분포]], [[통계학:정규분포]], [[통계학:주변확률밀도함수]], [[통계학:조건부확률밀도함수]], |\\ 
 +\\
 \\ \\
  
-=====메모=====+===메모===
  
 > PMF 파트 메모\\ > PMF 파트 메모\\
Line 38: Line 38:
  
 > PDF & CDF 파트 메모 \\ > PDF & CDF 파트 메모 \\
-1) PDF 는 분 , CDF는 분이다.\\+1)  CDF는 분, PDF 는 분이다. \\
 \\ \\
 2)PDF 의 주요 분포들( 연속균일분포 등등)은 PDF의 dx 는 놔도고 f(x) 부분문 바꾸는것이다.\\ 2)PDF 의 주요 분포들( 연속균일분포 등등)은 PDF의 dx 는 놔도고 f(x) 부분문 바꾸는것이다.\\
  • 통계학/확률_변수분포.1758789445.txt.gz
  • Last modified: 2025/09/25 08:37
  • 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