통계학:확률질량함수

Differences
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
Link to this comparison view

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
Next revision
Previous revision
통계학:확률질량함수 [2025/09/22 17:56] masteraccount통계학:확률질량함수 [2025/09/25 07:40] (current) masteraccount
Line 1: Line 1:
 =====확률질량함수(PMF)===== =====확률질량함수(PMF)=====
- +[[통계학:표본공간]](S)의 사상들이 이산형일떄 확률을 구하는 함수
-[[통계학:표본공간|S]]의 이산형일 경우, [[통계학:확률_변수분포|확률분포]]를 확률질량함수라 칭한다.\\ +
-질량이란 한 점에 집중된 물질의 양을 의미한다.\\ +
-PMF는 이와 유사하게 "점"에 집중되어있음을 의미한다.\\+
  
 ====공식==== ====공식====
Line 12: Line 9:
 \end{cases} \end{cases}
 \end{align*} \end{align*}
- +\\ 
-====공리====+===공리===
 $ \sum_i p({x_i})=1 $\\ $ \sum_i p({x_i})=1 $\\
 \\ \\
  
-====사용법===== +====공식설명==== 
-S= {HH, HT, TH, TT} \\ +x 는 X라는 [[통계학:확률_변수분포|확률변수]]에 속한 하나의 상수이다. \\ 
-\\ +우힝의 P(X=x) => 특정한 x를 하나 넣으면 해당 확률변수 x의 확률을 출력한다.\\
-$ \normalsize 확률변수 사용 $\\ +
-X(HH) = 2 \\ +
-X(HT)= 1 \\ +
-X(TH) = 1 \\ +
-X(TT) = 0 \\ +
-\\ +
-$ \normalsize 확률분포 사용 $\\ +
-P(X=0) = P({TT}) = $ \frac{1}{4} $ \\ +
-P(X=1) = P({HT,TH)} = P({HT})+P({TH}) = $ \frac{1}{4} + \frac{1}{4} = \frac{2}{4} = \frac{1}{2}$\\+
 \\ \\
 +[[통계학:베르누이분포]], [[통계학:이항분포]] 등이 좌항의 p(x) 가 상황에 맞게 구체화된 함수들이다.\\
  • 통계학/확률질량함수.1758563796.txt.gz
  • Last modified: 2025/09/22 17:56
  • by masteraccou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