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s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|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| |||
| 통계학:왜도_첨도 [2025/09/21 10:51] – masteraccount | 통계학:왜도_첨도 [2025/09/26 02:27] (current) – removed masteraccount | ||
|---|---|---|---|
| Line 1: | Line 1: | ||
| - | 상위문서 : [[..: | ||
| - | |||
| - | ====왜도와 첨도==== | ||
| - | |||
| - | 왜도(Skewness)와 첨도(Kurtosis)는 데이터의 분포 형태를 설명하는 통계량이다.\\ | ||
| - | 이 둘은 데이터가 [[통계학: | ||
| - | \\ | ||
| - | \\ | ||
| - | 1. 왜도 : 왜도는 데이터 분포의 비대칭성을 측정하는 척도.\\ 즉, 데이터가 평균을 중심으로 한쪽으로 얼마나 치우쳐 있는지를 나타냄.\\ | ||
| - | **기준은 0**으로써, | ||
| - | 왜도 = 0: 분포가 완벽하게 대칭적입니다.\\ | ||
| - | 양의 왜도(> | ||
| - | 음의 왜도(< | ||
| - | \\ | ||
| - | \\ | ||
| - | 2. 첨도 : 첨도는 데이터 분포의 뾰족한 정도 또는 꼬리의 두께를 측정하는 척도.\\ | ||
| - | 이는 정규 분포와 비교하여 데이터가 중앙에 얼마나 밀집되어 있고,\\ | ||
| - | 꼬리 부분에 극단적인 값들이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보여줌.\\ | ||
| - | **기준은 3** 으로써, | ||
| - | 첨도 = 3: 데이터의 분포가 정규분포와 유사한 모양이라는 뜻입니다.\\ | ||
| - | 첨도 > 3: 정규분포보다 봉우리가 뾰족하고 꼬리가 두꺼워, 극단적인 값이 많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\\ | ||
| - | 첨도 < 3: 정규분포보다 봉우리가 완만하고 꼬리가 얇아, 데이터가 비교적 평탄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\\ | ||
| - | ||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