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erences
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.
| Both sides previous revision Previous revision Next revision | Previous revision | ||
| 선형대수:계수 [2025/09/29 17:20] – [개념] masteraccount | 선형대수:계수 [2025/09/29 18:05] (current) – [개념] masteraccount | ||
|---|---|---|---|
| Line 2: | Line 2: | ||
| ====개념==== | ====개념==== | ||
| - | Rank는 행렬(matrix) 또는 [[선형대수: | + | 해당 |
| - | + | 즉 A라는 | |
| - | ===행렬에서의 Rank=== | + | |
| - | 행렬의 열공간(column space)의 차원과 같다.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선형 사상에서의 Rank=== | + | |
| - | 선형 사상 $L:V \to W$에서 치역(Image)의 차원을 의미.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\operatorname{rank}(L) = \dim(\operatorname{Im}(L))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=주요 속성==== | + | |
| - | $m \times n$ 크기의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1. 행 Rank와 열 Rank의 일치=== | + | |
| - | 행 Rank와 열 Rank는 항상 같다.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\operatorname{rank}(A) = \operatorname{rank}(A^T)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2. 피벗의 개수=== | + | |
| - | 가우스 소거법을 적용했을 때 나타나는 피벗(pivot)의 개수와 같다.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3. 최대 크기 제한=== | + | |
| - | Rank는 행과 열의 개수보다 클 수 없다.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\operatorname{rank}(A) \le \min(m, n)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4. 차원 정리 (Rank-Nullity Theorem)=== | + | |
| - | Rank와 Nullity(영공간의 차원)의 합은 행렬의 **열의 개수($n$)**와 같다.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\operatorname{rank}(A) + \operatorname{nullity}(A) = n | + | |
| - | $$ | + | |
| - | + | ||
| - | ====차원(Dimension)과의 관계==== | + | |
| - | 차원은 벡터 공간 자체의 크기를 나타내는 고유한 속성입니다 (예: $\mathbb{R}^3$ 공간의 차원은 3).\\ | + | |
| - | Rank는 행렬이나 | + | |